중·고교
학생들과 대학생 및 일반인들이 학업 및 사회생활에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자원(字源)과, 편리한
판형(判型)의
학습용을 겸한 일상생활 한자사전에 대한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대사전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편의성(便宜性)과
규모(規模)에
주안점을 두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이
사전의 특징
1. 표제자(標題字)로
사용할 자원(字源)을
컴퓨터 분석으로 추출(抽出)하여
총 7,899字를 엄선(嚴選)하였다.
5. 단어는
국립국어연구원의 최신 자료를 기초로 상용 국어 단어 중 한자 어휘의 자료를 충실히 반영하고, 그
외 다양한 실생활과 학업에 필요한 단어를 수록하였다.
6. 단어
설명문을 국한문(國漢文) 혼용(混用)으로
하여 사용 도중 자연스럽게 표제자와 관계되는 한자(漢字)를
익힐 수 있게 하였다.
7. 교육용
한자에 대하여 육서(六書)를
추가 하였고, 편리한
검색을 위하여 총획색인(總畫索引), 자음색인(字音索引) 외에
부수별(部首別) 총획
색인표(總畫
索引表)를
제공하였다.
8. 주요
한자 5,600여
字에 대한 훈음순
색인표(訓音順
索引表)를
제공하였다.
9. 간자
편람(簡子
便覽)을
수록하였다.
10. 전국
행정구역(行政區域)의
한자(漢字) 표기
등 다양한 부록을 제공하였다.
■
관련자료
본서(本書)의
특징(特徵)과
범례(凡例)
1. 본서(本書)는
국립 국어원에서 조사한 일상생활(日常生活)과
학업·언론·문예
분야 등에서 자주 쓰이는 58,437개
한글 어휘에 포함된 70%에
달하는 40,639개의
한자 단어에 사용된 한자 3,096字를 기초로 하고, 한·중·일·북한의
교육한자, 국가공인
한자검정기관 배정한자, 국가
기관에서 사용되는 한자, 사서삼경
등의 중국고전, 고사성어
등에 사용된 한자를 총망라하여 추출하였다. 이에
온 국민이 학업에서부터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평생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한자 7,400여
字에 약자(略字)·속자(俗字) 등을
총망라한 7,899字로 구성(構成)되어
있는 규모(規模)의
사전(字典)으로
편성하였다.
2. 표제자(標題字)에
관련된 고사(故事)·숙어(熟語)·성구(成句)·역사적
사건을 수록하여 간명하고 적절한 해설을 달아 고사성어사전(故事成語辭典)의
역할도 겸하게 하였다.
3. 표제자(標題字)는
물론, 표제자로
시작되는 단어(單語)까지
현재 중국에서 통용되는 발음[倂音]을
달아 중국어(中國語) 전공자(專攻者)나
중국 관련 사업(事業)을
하는 회사(會社) 또는
개인(個人)에게도
편리하게 활용(活用)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각
표제자(標題字)에는
일본어(日本語)·영어(英語)의
간략한 뜻까지 표시하여 한·중·미·일(韓中美日) 4개국
사전(四個國
辭典)의
역할(役割)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한
표제자(標題字)가
2개
이상의 독음(讀音)을
가질 때에는 2, 3 등의
네모 숫자로 구분하였다. 단, 둘
이상의 독음(讀音)을
갖는 경우 1번은
생략하였다.
6. 한학자(漢學者)·중국어전공자(中國語專攻者)·한시애호가(漢詩愛好家)를
위하여 운자(韻字)와
사성(四聲)을
표시하였다. 사성(四聲)은
□
안에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의
첫 자음(子音)인
ㅍ·ㅅ·ㄱ·ㅇ을
넣어 ㅍ은 평성, ㅅ은
상성, ㄱ은
거성, ㅇ은
입성을 나타내고, 그
다음에 운자(韻字)를
수록하였다.
7. 독음이
다른 표제자의 해설은 1, 2, 3 으로
구별하여 다시 ①, ②, ③으로 기술하였다.
8. 표제자(標題字)의
해의(解義)는
한글과 함께 한문(漢文)을
( ) 안에
넣어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9. 표제자(標題字)마다
대전(大篆)·소전(小篆)·고문(古文) 등
각종 자체(字體)와
필요한 경우 초서(草書)까지도
명시하여 다목적(多目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 표제자(標題字) 중
교육용한자(敎育用漢字)는
강조체(强調體) 자체(字體)를
사용하여 초보자들도 찾기 좋게 하였고, 교육용한자의
구분으로 중학(中學), 고교(高校) 표시와
함께 육서(六書) 표시를
별색 처리하였다.
11. 단어·숙어·고사성어
풀이는 직접적인 풀이뿐만 아니라 동의어(=)·유의어(→)·반대어까지도
수록하여 독자가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12. 단어
해설 중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 > 안에
설명하였다.
13. 단어해설(單語解說)에
나와 있던 한문(漢文)은
국한문(國漢文) 혼용(混用)으로
한글과 함께 ( ) 안에
해당 한자를 넣었다. 이로써
사전 이용 도중 저절로 한자를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단어(單語)의
첫 자에 표제자(標題字)가
나오는 경우뿐 아니라, 두
번째 字
이후에 나오는
단어도 국한문(國漢文) 혼용(混用)으로
표기하여 매 표제자(標題字)로
구성된 단어의 말미(末尾)에
수록(收錄)하여
다양한 어휘(語彙) 활용을
돕도록 하였다.
14. 편집(編輯)의
전산화(電算化)에
따라 활자(活字) 편집에서
사용되었던 모든 한자가 컴퓨터에서 이용되도록 폰트[자형(字型)]화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한·일·대만
3국에서
사용되는 폰트가 일본(日本)의
주도(主導)로
개발(開發)되어
일본식 한자가 우리나라의 컴퓨터에도 자리 잡고 있어 총획수(總劃數)를
헤아릴 때 자획(字劃)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음에 양해 있기를 바란다. 보이는
획수(劃數)와
관계없이 정자(正字) 부수(部首)의
획수로 헤아려서 총획(總劃)을
찾도록 하였다.
15. 권말(卷末) 부록(附錄)에는
총획 색인(總劃索引)·자음
색인(字音索引)은
물론, 부수별
획수 색인(部首別
劃數索引)과
훈음 색인(訓音索引)까지
마련하여 한자사전(漢字辭典)의
가장 약점인 찾기 기능을 대폭 강화하였다. 또한
자음색인에서 두음법칙(頭音法則)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 즉, 락(樂)자가
“낙”으로
발음되는 경우 각각 별도로 색인에서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동자이음(同字異音)인
“악”과
“요”에서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주요
한자 5,600여
字에 대한 한글의
뜻[훈(訓)]으로
해당 한자를 찾을 수 있어 한·중사전의
역할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획을 하였기에 독자들의 많은 호응을 기대한다. 예를
들어 “맑다”에
해당하는 한문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이 있을 경우 훈독색인에서 “맑”을
찾아보면 “淡·洌·瀏·淑·雅·晏·晶·瀞·澄·澯·澈·淸”을
보면서 해당 쪽을 찾아가 필요한 한자를 참조할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