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 설비의 설계도는 기계 등과 비교하면 건축물 자체가 커서 1/100 또는 1/200의 축척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부분적으로 기계실이나 샤프트(shaft) 안의 상세도 등은 1/50 또는 1/20로 작도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만으로는 전부를 표현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공기조화 설비의 설계도에 관련되는 강전₩약전, 급배수, 송풍관 등의 반송 설비까지를 기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관련된 업무는 현장에서 협의, 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주택과 같은 소규모 건물, 원자력 시설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설계도가 시공도를 대신할 수 없다. 따라서 공기조화에는 공사를 하기 위해 필요한 실시 설계도, 즉 시공도(대체로 1/50)가 필요하다.
터파기 등 기초공사를 인력으로 하던 시대에는 시공도의 작성이 다소 늦더라도 시간적 여유가 충분했지만, 최근에는 기계화로 건축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시공도를 제시간 내에 대지 못해 반려되거나 설계 자체에 불필요한 곳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설비업자 간에 시공도의 오류로 충돌이 발생하는 예가 많다. 시공도의 작도 능력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충분한 교육 기간도 없이 갓 입사한 신입사원을 현장에 투입하면 만족할 만한 시공도를 그릴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상황에 내몰릴 수밖에없는 것이 업계의 현실이기도 하다.
그동안 선배의 개인적인 노하우를 통하여 시공도를 작성하는 것을 배워왔기 때문에 많은 교육기간이 필요했지만, 지침이 있으면 교육 기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설비사 제도가 시행되어 공기조화 설비의 작도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물론 시공도의 교졸(巧拙)이 출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소부터 계통도, 계장도, 기기 배치 등 기존 설계도를 통해 더 좋은 표현이나 배치 방법을 찾아 시공도 단계에서 다시 그려보는 훈련이 필요하지 않을까? 시공도는 실제로 현장에서 훌륭하게 정리된 자료가 있더라도 시일이 지남에 따라 흐트러지기도 하고, 고유 기술로서 파묻히게 되기 때문에, 이 책에서는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실무에 활용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시공도를 CAD로 그리는 시대가 되었다고는 하지만 원안 작성의 기본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책이 공기조화 시공도의 품질 향상에 다소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1장 시공도 그리는 법
1.1시공도의 목적, 조건 등
2장 시공도 보는 법
2.1 시공도를 보는 사람과 목적
2.2 시공도 보는 법의 핵심
2.3 시공도 체크의 지적 사례
3장 기본 계획과 치수를 정하는 방법
3.1 습공기 선도에 의한 계산
3.2 송풍기
3.3 패키지형 공조기
3.4 증기
3.5 펌프 양정과 축 동력
3.6 덕트 치수‧관 지름 결정 방법
4장 작도상의 유의사항
4.1 작도의 준비
4.2 작도에서 결정할 사항
4.3 유의사항
5장 건축 관련 사항
5.1 트레이스상의 주의
5.2 골조도
5.3 방화 구획과 보 관통
6장 덕트
6.1 확인‧주의사항
6.2 덕트의 표시
6.3 분기 방법과 사용 조건
6.4 댐퍼 등의 표시
6.5 댐퍼의 설치
6.6 덕트 치수 기입 방법
6.7 분출구‧흡입구
6.8 배연구
6.9 배치와 공간
6.10 클린룸 관련
7장 배관
7.1 확인‧주의사항
7.2 배관의 표시
7.3 밸브류 등의 표시
7.4 배관 치수의 기입 방법
7.5 분기‧간격 등
8장 냉매 배관‧패키지 드레인
8.1 냉매 배관 사이즈의 선정
8.2 냉매 배관의 지지₩수직관 고정
8.3 냉매 배관의 옥상 비둘기장 관통
8.4 천장걸이 패키지 드레인 배관
9장 자동 계장
9.1 자동 계장(計裝)의 표시
9.2 문자 기호와 명칭
9.3 공기 조화기 주위의 자동 계장도
10장 기기 배치와 스페이스
10.1 기계실의 종류와 기기의 배치
11장 슬리브, 인서트, 설비 복합도
11.1 슬리브
11.2 인서트
11.3 설비 복합도
12장 체크 리스트
시공 준비~시공 중기‧준공 단계에 사용하는
부록 시공도 교육기술력 확인 시트
부록 시공도 샘플
저자
■ 저자
시오자와 요시타카
현재 주식회사 크리마텍에 재직 중이며 1966년 도쿄도 입체소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사열학공업주식회사(1966~2008년)에 근무했다.
■ 역자
진수득
국민대학교 대학윈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국민대학교 기계설계학과 연구 조교, 일본 관련자동차 부품회사 부서장을 역임했다. 자동차정비기사 1급, 중기정비기사 1급, 계량기계기사 1급 외에 일반기계기사, 건설기계기사, 기계안전기사, 소방설비기사 등 여러 기술 자격을 취득했다. 저서에는 <기사 일반기계공학>, <기계현장실무 일어회화용어집>, <일본어 단어노트>, <진학대학윈> 등이 있다. 현재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