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평가 및 분석기법>은 중대재해처벌법과 공정안전관리(PSM)에 기반한 위험성평가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바쁜 일과를 소화하면서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기업 관계자를 위해 현장 중심의 응용사례를 모아, 되도록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 도서는 PSM 대상 기업은 물론, 그 외 많은 중소기업의 안전 관련 기술자가 회사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으며, 좀 더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위험성평가 및 분석기법까지도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사업장 안전관리 수준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재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개정증보판에는 최근 개정된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과 국토교통부 고시로 정한 설계안전성검토(Design For Safety) 기법을 추가하고, 관련 법이나 인용된 옛날 자료들을 최근 자료로 정리하였다. 특히 방호계층분석(LOPA)은 안전조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으로, 최근 들어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어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응용사례를 재정리하였고, 사고결과분석(CA)에서 유료 프로그램이기는 하지만 기업의 선호도가 높은 응용프로그램인 PHAST를 보완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위험성평가의 위험도 산출 시 대부분의 기업 현장에서는 빈도 및 강도 계산을 산재발생현황만을 참고하고 있어 거의 모든 작업과정의 위험도가 저평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안전관리가 필요하지 않거나 시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빈도 및 강도 산출 방식을 보완하였으며, 안전보건공단에서 최근 5년간 발생했던 고위험작업/상황 및 재해유발요인을 도출, 사망재해를 분석한 "사고사망 핵심위험요인(SIF) 평가표"를 수록하였다.
최근에 산업안전보건법과 시행령, 시행규칙이 전면 개정되면서 벌칙이 대폭 강화되고, 근로자의 안전보건 문제는 물론 사업장 인근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중대산업 사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이 책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 책의 특징
1. 현장 중심의 응용사례를 모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
2. 설계안전성검토(Design For Safety) 기법 추가
3. 방호계층분석(LOPA) 기법의 응용사례 정리
4. 사고결과분석(CA) 기법 및 프로그램 활용법 소개
5. 위험성평가의 빈도 및 강도 산출 방식 보완
6. 안전보건공단의 사고사망 핵심위험요인(SIF) 평가표 수록
7. 최근 국내외 중대산업사고 사례 정리
목차
제1장. 위험성평가와 응용
1-1. 들어가기
1-2.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1-3. 설계안전성검토(DFS;Design For Safety)
1-4. 위험기반검사(RBI ; Risk Based Inspection)
1-5. 위험성평가지원시스템(KRAS ; Korea Risk Assessment System) 활용법
1-6. 화학물질 위험성평가(CHARM ;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
제2장. 공정안전관리(PSM)에 기반한 위험성평가 및 분석기법
2-1. 위험성평가 및 분석의 개요
2-2. 위험과 운전분석(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