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정보관리기술사&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Vol 11. Cloud Native
ISBN 978-89-315-8491-2
저자 권영식
발행일 2025-08-20
분량 416쪽
판형 4×6배판(190×260)
편집 1도
개정판정보 초판 1쇄(2025년 8월 20일)
정가 45,000원↓
판매가 40,500
(10% off)
적립금 2,250원(5%)
  소득공제
도서소개

책 소개

1. 이 책은 학원 수강을 통해 습득한 내용과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스스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답안 형태로 작성하였고, IT 분야 기술사인 정보관리기술사와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학습하고 있거나 학습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2. 본 교재는 발전 동향, 배경 그리고 유사 기술과의 비교, 다양한 도식화 등 실무 개발자 경험을 토대로 작성한 내용으로 풍부한 경험적인 요소가 내재하여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책의 특징

Part 1. 클라우드(Cloud) 네이티브의 개요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장 배경, 구성, 특징, 구성요소, Cloud Native Application, 성숙도 단계,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장·단점, 전환 효과,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안전성·확장성·신속성,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도입 목표 등 학습에 기본이 되는 토픽들입니다. [관련 토픽 19]

 

Part 2.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요소 및 원칙

컨테이너(Container)Virtual Machine의 차이, 오케스트레이션의 주요 기능,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 구조 및 장·단점, 특징, CI/CD, DevOps, DevSecOps 등에 대해 알차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16]

 

Part 3. 클라우드 네이티브 적합성 검토

클라우드 네이티브 정책과 업무 관점의 검토 항목과 기술 및 서비스 관점의 검토 항목, 프로세스 관점, 조직 관점의 검토 항목, Cloud Native 개발 비용 산정, 우선순위 결정요소 등을 이해하고 답안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관련 토픽 6]

 

Part 4.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기술

REST, SSL, SOA, EAI, AnyLink, JSON, Open API, 서버리스 아키텍처, Platform Engineering, 카프카(Kafka), Apache Storm, 넷퍼넬, AMQP, 로드 밸런싱, IPC, BaaSFaaS,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등에 대해 답안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35]

 

 

Part 5. 클라우드 네이티브 내·외부 아키텍처

내부 아키텍처, 외부 아키텍처, 개발 절차, MSA 전환 예시, API Gateway,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Service Discovery, 쿠버네티스(Kubernetes), 개발 및 실행 지원 서비스, 실행 영역과 Backend 서비스, 운영지원 서비스와 Cloud 인프라 등의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련 토픽 18]

 

Part 6. 클라우드 네이티브 분석단계

마이크로 서비스 도출, DDD설계,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컨텍스트 맵핑(Context Mapping), Micro-Service 식별 및 경계 도출 방안, Micro-Service 도출 예시, 이벤트 스토밍을 통한 마이크로서비스 도출 과정 등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12]

 

Part 7.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단계

MSA의 기술 요소 및 도입 시 고려사항과 운영 시 예상문제와 해결 방안, Cloud Native Application 아키텍처의 구성, Micro Service 아키텍처의 설계 방안, SAGA 패턴, CQRS 패턴, 통신 패턴, 폴리글랏 아키텍처, Cloud Migration, 12 Factors 기반 개발원칙 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23]

 

Part 8.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분야

개방형 API(Open API)의 취약점과 대응 방안,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관리 원칙 및 기준과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전통적인 Cloud 보안과 Cloud Native 보안 비교, 다층 보안 체계(Multi Level Security) 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관련 토픽 4]

목차

PART 1.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요

1.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2.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등장

3.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구성

4.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특징

5.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의 구성요소

6.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2교시)

7. 정보 System 주요 이슈 및 문제점, Cloud Native 도입 배경과 효과, 전산 장애 발생원인 및 해결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8. Cloud Native Application

9. Cloud Native Application(CNA)

10. Cloud Native Application(CNA)(2교시)

11. Cloud Application 성숙도(Maturity) 단계

12. 클라우드 네이티브 스택(Cloud Native Stack)

13.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의 장점

14.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의 단점

15.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전환 효과(1)

16.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전환 효과(2)

17.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안정성, 확장성, 신속성

18.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환경에서의 가상화(Virtualization)

19. 공공부문 Cloud Native 도입 목표

 

PART 2.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요소 및 원칙

20. 컨테이너(Container)

21. 컨테이너(Container)Virtual Machine의 차이와 Container 오케스트레이션의 주요 기능

22.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23. MSA 구조 및 특징, ·단점

24. Micro Service Architecture와 특징

25. MicroService 아키텍처와 Monolithic 아키텍처

26. CI(Continuous Integration)

27. CI(Continuous Integration)/CD(Continuous Delivery) 파이프라인(Pipeline)

28. CTIP(ContinuousTest&IntegrationPlatform)

29. 실행 중인 Application에 대한 배포(Release) 전략 및 테스트 전략에 대해 설명하시오.

30. DevOps

31. DevOps의 개념, 유형

32. DevOps의 구성 및 설명

33. DevSecOps

34. DevOps 구현 시 MonolithicMSA ·단점, 활용 방안

35. Cloud Native의 조직변화와 합리적인 개발 방법론과 DevOps 조직 구성 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3. 클라우드 네이티브 적합성 검토

36.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적합성 검토 항목 중 정책과 업무 관점의 검토 항목과 기술관점의 검토 항목에 대해 기술하시오.

37.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적합성 검토 항목 중 서비스 관점의 검토 항목에 대해 기술하시오.

38.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적합성 검토 항목 중 프로세스 관점의 검토 항목에 대해 기술하시오.

39.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적합성 검토 항목 중 조직 관점의 검토 항목에 대해 기술하시오.

40. Cloud Native 개발 비용 산정

41. CloudNative 사업 추진의 우선순위 결정요소와 사업단계별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4.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기반 기술

42. 분할과 정복(Divide and Conquer)

43.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44.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45. SSL(Secure Sockets Layer) Offloading(Proxy)

46.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47.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48. System 및 서비스(Service) 간의 연계방식인 EAI, ESB, API Gateway, Service Mesh에 대해 설명하시오.

49. Anylink

50. JSON(Java Script Object Notation)

51. Open API

52. Open AP

53. Open API, System, 구성요소, 요소기술

54. 개방형 API(Open API)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 정의 및 특징

       . SOAP REST 구성요소

       . SOAPREST 비교

55. REST, SOAP

56. 서버리스 아키텍처(Serverless Architecture)

57. 플랫폼 엔지니어링(Platform Engineering)

58.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Cloud Management Platform)

59. Block 스토리지, File 스토리지, Object 스토리지

60. 카프카(Kafka)

61. 대용량 실시간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System인 카프카(Kafka)에 대해 특징, 구성요소, 동작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62. Apache Storm

63. Apache Spark

64. 넷퍼넬(Net Funnel)

65. AMQP(Advanced Message Queue Protocol)

66. 가중 라운드 로빈(Weighted Round Robin) 방식의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67.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68.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기법 중 Pipe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69.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제공 모델의 이점을 활용하는 Application 구축 및 실행 접근 방법으로 Cloud Native Application이 주목받고 있다. Cloud Native Application 의 주요 특징과 관련 기술, 참조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하시오.

70. 폭포수 개발모형과 애자일(Agile) 개발 방법론

71. Agile 개발 방법론의 특징, Waterfall(폭포수) 개발모형과 비교,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72. Single/Hybrid/Multi/Edge Cloud의 정의, 특징, 구조, 적용 시 검토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73. BaaS(Backend as a Service)FaaS(Function as a Service)

74. Cloud Service 중 온프레미스(On-Premise), IaaS, CaaS, PaaS, FaaS, SaaS의 설명

75.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76. 클라우드 상호운용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5. 클라우드 네이티브 내·외부 아키텍처

77. Cloud Native 정보시스템의 개발 절차

78.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79. Micro Service 아키텍처로의 전환 이유와 전환 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

80.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Gateway

81. API Gateway 필요성, 고려사항

82. API Gateway의 위치

83.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84. Service Mesh

85. 서비스 메시(Service Mesh)API Gateway 비교

86.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87. 쿠버네티스(Kubernetes)(1)

88. 쿠버네티스(Kubernetes)(2)

89. 쿠버네티스(Kubernetes)(3)

90. 쿠버네티스(Kubernetes-K8s)

91. 쿠버네티스(Kubernetes-K8s) 아키텍처와 주요 기능

92. Cloud Native의 개발 및 실행 지원서비스와 도구에 대해 설명하시오.

93. Cloud NativeApplication 실행영역과 Backend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시오.

94. Cloud Native에서의 운영지원 서비스와 Cloud 인프라(Infra)에 대해 설명하시오.

 

PART 6. 클라우드 네이티브 분석단계

95. 마이크로 서비스(Micro Service) 도출 방안

96. DDD(Domain Driven Design)

97. DDD(Domain Driven Design) 설계

98. 바운디드 컨텍스트(Bounded Context)

99. 바운디드 컨텍스트(Bounded Context)와 애그리거트(Aggregate)

100. 컨텍스트 맵핑(Context Mapping)

101. 업무기능분해를 통한 Micro-Service 식별 방안

102. 업무기능분해를 활용한 Micro-Service 경계 도출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03. 업무기능분해를 통한 Micro-Service 도출 예시

104. 이벤트 스토밍(Event Storming)

105. 이벤트 스토밍(Event Storming)을 통한 마이크로서비스 도출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106. Notation Rule

 

PART 7.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단계

107. Micro Service ArchitectureMonolithic Architecture

108.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의 기술요소 및 도입 시 고려사항, 운영 시 예상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기술하시오.

109.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의 기술요소와 적용 시 고려사항, 확산 시 저해요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10. Cloud Native Application 아키텍처의 구성

111. Micro Service 아키텍처의 설계 방안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12. SAGA(Simple API for Grid Application) 패턴

113.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패턴

114. Micro Service 간 통신 패턴(Pattern)

115. 폴리글랏(Polyglot) 아키텍처

116. Cloud Native 환경에서의 DB 구성 방안

117.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Cloud Migration)

118. Codebase SVNGit

119. 12 Factors 기반 개발원칙 중 1Code base를 통한 관리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120. 12 Factors Application Code의 명시적 종속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121. 12 Factors ApplicationBuild, Release, Run 3단계 과정의 분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122. 12 Factors ApplicationStateless(무상태) 저장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23. 12 Factors 중 포트 바인딩(Port Binding)에 대해 설명하시오.

124. 12 Factors 중 기능별로 분리된 Micro Process 설계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125. 12 Factors Shutdown 시 정상종료(폐기 가능: Disposability)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126. 12 Factors 중 개발과 운영 환경 일치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127. 12 Factors Log Stream 형태로 표준출력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128. 12 Factors 중 운영 관리 Process에 대해 설명하시오.

129.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단계별 감리방법과 검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PART 8.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130. 개방형 API(Open API)의 취약점, 대응 방안

131.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관리 원칙 및 기준

       . 보안대책 수립 및 보안성 검토

       . 서비스 수준 협약

132. 전통적인 Cloud 보안과 Cloud Native 보안 비교

133. 다층 보안 체계(Multi Level Security)

저자

저자 권영식

- 성균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졸업(공학석사)

-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

- 삼성전자 선임/책임/수석연구원

- 국립공원공단 정보융합실장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 정보시스템수석감리원

- 정보통신특급기술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T 멘토

- 데이터관리인증심사원(DQC-M)

- (()기술사 교류회 위원

- http://cafe.naver.com/96starpe운영자

 

부록/예제소스
정오표
    최근 본 상품 1